1. 보호계전기의 개요
전력계통은 여러개의 발전소, 변전소 및 이들을 연결하는 송배전선 등으로 구성되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계통의 전력선, 전기기기 등에 단락, 지락 등 이상상태가 발생한 경우 보호계전기는 고장의 종류, 고장 전류와 전압, 고장 점의 위치 등을 정확하게 검출해서 고장 구간을 고속으로 선택 및 차단하는 지령을 차단기에 보내어 전력계통 보호를 위한 기능을 한다. 즉, 고장부분을 전력계통으로부터 신속히 분리하여 기기와 설비의 손상을 최소화하 고 사고파급이 확대되지 않도록 한다.
1) 보호계전기의 요구사항
① 안정성(Stability) : 사고시에만 반응을 하고, 보통의 계통현상에는 반응하지 않아야 한다.
② 속도(Speed) : 사고 발생시 계통 안정유지와 전력설비의 소손 방지를 위해 고속으로 동작해야 한다.
③ 선택성(Sensitivity) : 사고점 제거를 위한 정확한 사고 위치를 선택해야 한다.
④ 신뢰성(Reliability : 사고 발생시에 정확하게 동작해야 한다.
2. 보호계전기 구성 및 분류
1) 보호계전기 구성
(1) 검출부 : 주회로의 전압, 전류를 검출하여 판정부의 계전기에 알맞는 값으로 변성(CT, PT, ZCT, GPT 등)하는 역할을 한다.
(2) 판정부 : 검출부에서의 전압, 전류 등의 신호를 받아 사고의 유무와 동작의 필요성 유무를 판정 동작부(차단기)에 지시를 한다.
(3) 동작부 : 차단기(CB)로 대표되며 판정부의 지시로서 전로를 차단하고 사고부분을 분리한다.
2) 보호계전기 분류
보호계전기는 아날로그 계전기와 디지털 계전기로 분류된다. 아날로그 계전기는 전자유도에 의해 기계적으로 동작하는 전자식 계전기와 논리회로에 의한 비교검출방식 으로 동작하는 정지형 계전기로 나누어진다.
또한 디지털 계전기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연산처리기능으로 여러 개의 보호기능과 각종 이벤트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신 기능에 의한 원격감시가 가능하므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보호계전기 특징 비교
항목 | 아날로그형 | 디지털형 |
보호성능 | 계전 요소별 다수개 설치 | 복합계전요소 |
동작원리 | 물리적 양에 의한 동작(유도형) 트랜지스터 회로 크기 비교(정지형) |
고도의 디지털 연산을 이용한 판정 |
계측기능 | 별도의 계측기기 사용 | 전압, 전류, 전력 등 디지털 정밀 계측 |
감시/제어기능 | 없음 | 계전기 동작상태, 기기 제어 및 상태감시, 고장 이벤트 기록 등 |
통신기능 | 불가능 | 고속도 통신 가능 |